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가을달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가을달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가을달

본 블로그는 개인 블로그로 글쓴이의 소속/직장의 의견을 대변하는 것이 아닌 개인적인 생각을 공유하는 공간 입니다.

PM

  • 가을달
타인을 가늠해야할 때, 아니 저기 MBTI 말구요.

타인을 가늠해야할 때, 아니 저기 MBTI 말구요.

2022.09.09
새로운 장소를 방문하다 낯선 환경에 당황한 적이 있나요? 이런 상황에서는 낯선 광경, 소리, 냄새에 정신이 혼미해질 수 있습니다. 새로운 팀과 사람들을 만나는 것도 여러모로 비슷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새로운 환경에 놓인다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잘 모르겠지요. 하지만 여행과 마찬가지로 낯선 바다를 항해하고 주변 사람들을 알아가는 방법도 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팀이나 사람과의 첫 만남을 여행의 시작이라고 생각하세요. 새로운 곳으로 여행을 떠날 때와 마찬가지로 준비를 해야 합니다. 미리 조사를 통해 무엇을 기대해야 하는지 알아두세요. 만나게 될 사람이나 팀에 대해 최대한 많이 알아보세요. 여기에는 웹사이트나 소셜 미디어 페이지를 살펴보고, 해당 업계에 대해 읽어보거나, 지인에게 물어보는 것도 ..
일을 하는 가장 쉬운 방법 : 문서 작성

일을 하는 가장 쉬운 방법 : 문서 작성

2022.07.11
어떤 직군이던 취업을 한 당신! 이제 일을 해야 한다. 그럼 어떤 일을 해야 할까? 개발자라면 코딩을, 디자이너라면 디자인을, 마케터라면 마케팅을 하지 않을까요?라고 할 수 있지만 가장 쉬운 일하는 방법이 있다. 그것은 바로 문서 작성이다. 더 쉽게 말하면 글쓰기! 아니 기획자도 아니고 제가 문서작업을 왜... 해야 하나요?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문서화는 너무 매력적인 일이다. 잠시 다른 이야기를 해보자 단톡방, 슬랙, 라인, 텔레그램, 잔디 같은 툴을 쓴다고 가정해보자. 하루에 오는 메세지량은 어느 정도 일까? Slack의 경우 리포트를 보내주는데 보통 한 주에 1만 문장 이상 대화를 나눈다. (슬랙만!) 일반적 소설책 한 권이 5천 문장 내외인걸 생각해보면 이 대화량은 엄청난 것이다. 이러한 엄청난 ..
우선순위를 세워 봅시다. 😒 어차피 안 지킬 거지만요. 😳

우선순위를 세워 봅시다. 😒 어차피 안 지킬 거지만요. 😳

2022.06.25
우선순위라는 말이 있다. 다들 살면서 한 번씩은 들어볼 텐데... 유미의 세포들에서 나오는 우선순위처럼 인간이 우선시하는 개인적인 순위를 포함해 업무적으로도 많이 사용되는 우선순위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일단 우선순위라는 말 자체는 매우 단순하다. "우선 시 되는 순위"를 줄여서 부르는 것으로 자기가 중요하게 먼저 여기는 것들을 쉽게 말해 나열시키는 것이다. 업무에서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특정 업무를 하기에 앞서 어떤 일을 먼저 해야 할지 중요도를 파악하는 것인데 업무 건 개인적 가치건 다른 것들과의 관계성 더 나아가 바꾸기 쉬운 것과 행하기 어려운 것 등을 가치고 이 우선순위들은 자주 바뀌곤 한다. 여기서 문제가 하나 생긴다. 우선순위의 잦은 바뀜은 당연하다. 하지만 이것은 아무런 문제가 없을까? ..
기획자, PM, PO로서의 터닝 포인트

기획자, PM, PO로서의 터닝 포인트

2022.06.02
2022.05.29 - [커리어와 진로] - 스스로 강점이라고 생각했던 것을 의심해보기 먼저 등장인물을 소개하자면 조이는 나의 팀장이자 20년 넘게 IT업계에서 고군분투하신 기획자 이시다. (단순히 기획만 하신 게 아니라 사업, 전략 등 다양한 직무를 맡아하신 경험이 있으시다.) 조이와 나는 최근 15번 이상의 1:1 미팅을 하였다. 이유는 서로가 생각하는 방향이 달라서 혹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이 달라서였다. 사실 내 커리어를 살펴보면 좋게 말하면 다양하고 나쁘게 말하면 번잡하다. 마케팅, 프로젝트 매니저, 사업기획, 프로덕트 오너 등을 맡아 10년 정도 굴렀고 그런 과정에서 몇 차례 성공도 맛보았다. 하지만, 이 성공이 독이 되었다. 어찌 보면 나는 임기응변에 능한 사람이고 감에 철저하게 의존하는..
[GPT 시리즈 ①] 알파고로 딥러닝까진 들어봤는데 GPT는 뭐에요?

[GPT 시리즈 ①] 알파고로 딥러닝까진 들어봤는데 GPT는 뭐에요?

2022.05.22
Ko-GPT가 최근 회사에서 외부로 공개 되었습니다. Naver의 CLOVA도 다양한 방식으로 외부에 노출될 예정입니다.(이미 Hyper CLOVA도 나왔고) OpenAI에서 2020년 6월에 GPT를 공개한 이후, 많은 플레이어들이 빠르게 GPT 모델을 기반으로 새로운 모델을 출시했습니다. 그러나 이는 업계에서 일어난 큰 변화에 가깝습니다. 일반 대중들에게는 어려운 기술이기 때문에, 이 기술은 학계와 업계 사람들만 환영하는 것일 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글을 읽는 분들은 꼭 GPT에 대해 알고 가시면 좋을 것입니다. 이는 우리가 더 나은 미래를 대비하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일 것 입니다. GPT는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약자로, 한글로는 "생성형 사전 ..
Product Manager란 무엇일까?

Product Manager란 무엇일까?

2022.05.05
앞서 우리는 Product Owner(이하 PO), Project Manager(이하 PM)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기존의 PM 밖에 없던 시장에서 몇 년 전부터 Product Manager라는 직군이 보이기 시작했다. 이것은 무엇이고 우리를 왜 헷갈리게 할까? 기존의 PM은 프로젝트 매니저였다면 후기에 언급되는 Product Manager는 제품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좀 더 이해하기 쉽게 말하면 이들은 "기획자"라고 불리는 직군에 가깝다. 실제 JD 들을 보아도 기획자를 찾는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자연스럽게 나오는 질문이 있다. 기획자가 뭔데요? 기획자는 Designer에 가깝다. 우리가 말하는 그래픽 디자이너가 아닌 설계자로서의 디자이너이다. 제품 설계자로서의 매니저라고 하면 이..
Project Manager란 무엇일까?

Project Manager란 무엇일까?

2022.05.05
본 포스팅은 2019년 필자가 Nexon Development Conference에서 발표한 내용으로 갈음합니다. 우리는 어떠한 일을 진행하기 전에 계획을 세웁니다. 그 계획은 이루고자 하는 것에 비례해 거대해 집니다. 우린 이 계획을 지키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할까요? 게임을 개발하는 것은 무척 재미있는 일이지만 매우 높은 복잡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게임 개발을 진행하는데 있어 우리는 모두 그럴듯한 계획을 세웁니다. 이 계획은 얼마나 잘 수행될까요? 본 세션에선 개발 일정관리부터 팀 내 커뮤니케이션, 로드 밸런싱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개발PM 직무와 프로젝트를 달성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물론, 은탄환은 없습니다. 전지적 참견 시점 - 게임개발PM 우리는 어떠한 일을 진행하기 전에 ..
그래서 PO(Product Owner)가 뭔데요?

그래서 PO(Product Owner)가 뭔데요?

2020.11.02
먼저, 이 이야기는 “나 때는…”이야기가 될 확률이 높다. 그리고 개인적 생각과 편향된 지식이 많이 들어갔다는 것을 미리 알리고 시작한다. 최근 Product Owner, Project Manager, Product Manager 등 PO, PM의 이야기가 많다. 정확히는 ‘유행’에 가깝다. 스타트업 및 대기업 등지에서 하나 둘 나오고 있는 이 직군은 이제는 교육업계를 선봉으로 널리 퍼지고 있다. (구글 트렌드 검색을 보니 19년부터 무척 퍼졌다. 한국에서만!) 나름 2016년부터 Project Manger로 일을 하고 PO로 나아가는 시점에서 이 직군에 대한 간단하지만 간단하지 않은 소회를 밝혀보고자 한다. Product Owner는 말 그대로 제품의 주인이다. 한국어로는 제품의 최종 책임자라고 할 수..
  • 최신
    • 1
  • 다음

정보

가을달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가을달

  • 가을달의 첫 페이지로 이동
250x250

검색

메뉴

  • 🏠 홈
  • 💁‍♂️ 글쓴이
  • 👍 페이스북
  • ❤ 인스타그램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87)
    •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29)
    • 커리어와 진로 (7)
    • 일상에서 영감찾기 (21)
    • 읽고 보고 들은 것 (17)
    • 사고 먹고 마시고 삼킨 것 (2)
    • 지극히 사적인 이야기 (9)

최근 글

  • 타인을 가늠해야할 때, 아니 저기 MBTI 말구요.

    타인을 가늠해야할 때, 아니 저기 MBTI 말구요.

    2022.09.09
  • 당신도 할 수 있다! 조직을 망치는 현장 메뉴얼

    당신도 할 수 있다! 조직을 망치는 현장 메뉴얼

    2022.08.31
  • 보도자료를 처음 써야 할 때 하면 좋은 것들

    보도자료를 처음 써야 할 때 하면 좋은 것들

    2022.08.29
  • 한국콘텐츠진흥원 2022 콘텐츠 스텝업 강연

    한국콘텐츠진흥원 2022 콘텐츠 스텝업 강연

    2022.08.28
  • 스크럼에 대한 거의 모든 것

    스크럼에 대한 거의 모든 것

    2022.08.28

인기 글

  • [시리즈] ② OKR이 뭘까? 그리고 KPI/MBO/BSC와 무엇이 다른⋯

    [시리즈] ② OKR이 뭘까? 그리고 KPI/MBO/BSC와 무엇이 다른⋯

    2022.06.18
  • 알고 있으면 언젠가 꼭 쓰는 캐즘(Chasm)이론

    알고 있으면 언젠가 꼭 쓰는 캐즘(Chasm)이론

    2022.07.31
  • Pick Your CARD 제작기: ① 대화를 위한 도구를 만들 순 없을⋯

    Pick Your CARD 제작기: ① 대화를 위한 도구를 만들 순 없을⋯

    2020.11.16
  • 유니콘이 된 스타트업들의 Go to Market 전략 12가지

    유니콘이 된 스타트업들의 Go to Market 전략 12가지

    2022.07.24
  • [시리즈] ③ 평가는 해야 할 것 아닌가요? 어떻게 보상을 나눌까요?

    [시리즈] ③ 평가는 해야 할 것 아닌가요? 어떻게 보상을 나눌까요?

    2022.06.21

댓글

  • [승인대기]
  • [승인대기]
  • [승인대기]

정보

이해봄의 가을달

가을달

이해봄

공지사항

  • 공지 - 가을달 블로그 탄생 이유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네이버 이웃 맺기
  • RSS 피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나의 외부 링크

  • 자기소개
Powered by Tistory / Kakao. © 이해봄. Designed by Fraccino.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