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게임, 서비스, 제품 기획의 기본 MDA Framework
게임, 서비스, 제품 기획의 기본 MDA Framework
2022.08.06앞서 포스팅했던 제품의 가치를 정의하는 방법에서 나온 Value Proposition Mapping이 워크숍 등 다수의 활동이라면 MDA는 조금 더 개인적으로, 실무단에서 쓸 수 있는 접근법이다. 둘 모두 고객 사이드와 제품 사이드에서 본다는 두 가지 시각을 가지고 하는 것은 같으나 MDA는 인간이라는 점에 초점을 더욱 맞추었다. 또한, "바꿀 수 있는 것", "바꿀 수 없는 것"을 명확히 구분하여 생각의 정리를 돕는다. 다만, MDA 프레임워크가 처음 제시된 것이 게임 기획(디자인) 영역이기에 대부분의 용어가 게임 산업에서 왔지만 이는 제품으로 치환해서 봐도 큰 문제가 없다. (우리의 제품이 엔터테인먼트 적 측면이 있거나, 재미라는 게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 다면) 게임 디자인에서 구조(Mechanics..
인생이 사는 게 가끔 게임 같지 않아?
인생이 사는 게 가끔 게임 같지 않아?
2022.06.03잡담을 하다 나온 이야기 중 하나이다. "인생이 사는 게 가끔 게임 같지 않아?"라는 무슨 라노벨 같은 질문으로 시작한 이야기였다. 물론 이건 모바일 게임이나 RPG류 게임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이라기 보단.. 뭐 경험이라고 하자. 다들 겪어 보았을 것이다. 우리는 게임에서 신규 캐릭터를 만들면 그 캐릭터에게 신경을 많이 쓴다. 스탯도 분배해야 할 것이고, 전직도 시킬 것이고, 장비도 맞출 것이다. 이때까지 돈이 엄청 깨진다. 장비를 왜 맞추겠는가 좋은 던전에 들어가서 또 좋은 장비, 좋은 아이템을 얻기 위해서이다. 이때까지만 해도 수동 조작이 필요하다. 손이 많이 간다는 이야기지. 요즘 나온 디아블로 이모탈이나 정통 RPG들 역시 이런 방식을 취한다. 사실 우리는 알고 있다. 내가 딱히 서버 1위를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