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가을달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가을달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가을달

본 블로그는 개인 블로그로 글쓴이의 소속/직장의 의견을 대변하는 것이 아닌 개인적인 생각을 공유하는 공간 입니다.

분류 전체보기

  • 가을달
기술의 특이점은 온다

기술의 특이점은 온다

2022.08.12
특이점이라는 단어를 요즘에 많이들 봤을 것이다. 무언가 이해할 수 없거나 뛰어넘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우리는 '특이점이 왔다.'라는 표현을 쓴다. 예전에 넥슨에 있을 때, 동료들끼리 개그처럼 말했던 것들이 이제 실제로 이뤄지고 있다. 위는 가트너가 발표한 2022년 기술의 하이퍼 사이클이다. 사실 위 내용은 봐도 큰 의미가 없다고 본다. 새로운 게 나오면 교체 하긴 하겠지만 말 그대로 사이클 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자들에게 체감 되게 만져지기 위해선 갈 길이 멀고 저 속도를 누가 예측 할 수 있겠는가? (예측 가능했으면 벌써 가트너는 세계 1위 리서치펌이 되었겠지) 저 표는 그럴지도 몰라 정도로 받아들여야 한다. 난 개인적으로는 이 그래프를 무척 좋아하는데 기술의 발전과 돈을 벌 구석을 잘 설명해 주기 때..
[5WHY 시리즈] 빠질 수 밖에 없는 함정 “본질”

[5WHY 시리즈] 빠질 수 밖에 없는 함정 “본질”

2022.08.11
2022.08.04 - [일상에서 영감찾기] - [5WHY 시리즈] 이거 쓰면 본질에 다가갈 수 있겠지? 앞선 글에선 5WHY 방법론이 제법 유용한 것 처럼 설명했다. 앞선 글에서도 말했듯이 고객의 감정을 파악하거나 문제의 원인을 찾는 데는 의미가 있으니. 개인적으로 2019년 5월 사용했던 토마스 제퍼슨 기념관의 예시가 대표적인 5WHY 기법의 성공사례로 전승되어 온다. 이 사례는 미국의 3대 대통령 토마스 제퍼슨 기념관의 관장이 새로이 취임하면서 보수 비용이 과하게 지출되고 있다고 생각하여 원인을 찾는 과정을 설명하는 경영 설화(?) 같은 것인데... 내용은 이러하다. 기념관 벽이 부식되어 보수 작업을 해야 하는데, 담당자에게 원인을 물었더니 새똥이 기념관 벽면에 너무 많이 묻어 그것을 깨끗이 지우기..
인공지능은 이제 어디로 가야 할까?

인공지능은 이제 어디로 가야 할까?

2022.08.10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인공지능은 정말 말도 안 되는 속도로 발전해 왔다. 아예 기술에 대한 관심이 없는 이들도 이제는 인공지능이 그림을 그리고 글을 쓰는 것에 대해 들어본 적 있다고 할 정도이다. 앞으로 이 속도는 어떻게 될까? AI 윤리에 대한 반하는 치명적 사건이 오지 않는 이상 이 속도는 더욱 빨라지면 빨라졌지 느려지진 않을 것이다. 인공지능 리서처, 서비스 개발자 뭐 할 것 없이 이제 인공지능 업계에선 모델 공개, 논문 등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데이터셋까지 모두 공개하는 추세이다. 서비스 개발로 눈을 돌린다 해도 마찬가지다. 모델 단위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독자적 모델을 가진 곳들도 요즘에는 API공개는 기본으로 하기에 서빙 자체는 무척 쉬워지고 있다. 문제는 경량화나 최적화 일 것이..
사용자가 바라는 것, 내가 바라는 것

사용자가 바라는 것, 내가 바라는 것

2022.08.07
가끔 Maker들은 함정에 빠진다. 자기가 만들고 있는게 엄청난 것이고 시장에 변화를 가지고 올 것이라고. 물론 이런 자신감을 참 좋은 것이지만 자기가 옳다. 라는 함정에 빠지면 이제 사용자는 안보이고 우리가 간지나고 좋은걸 만든다는 뽕에 차게 된다. 머리에서 도파민이 도는 거지. 그럼 유명한 짤방인 아래와 같은 일이 생긴다. 실제 사용자(아기)는 말 그대로 Ass-hole이나 보고 있어야 한다. 불쌍한 사용자들 그리고 사용자는 절대 말하지 않는다 떠나지. 말해주는 사용자가 있으면 고마운 것이다. 그걸 감사히 여기자. 예전 디자인 싱킹에서도 말했던 한 발 물러서서 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게 제대로 되고 있는게 맞는가? 적어도 의사결정 과정에 사적인 특수한 경험, 지인들의 이야기로 의사결정권자들의 bias..
게임, 서비스, 제품 기획의 기본 MDA Framework

게임, 서비스, 제품 기획의 기본 MDA Framework

2022.08.06
앞서 포스팅했던 제품의 가치를 정의하는 방법에서 나온 Value Proposition Mapping이 워크숍 등 다수의 활동이라면 MDA는 조금 더 개인적으로, 실무단에서 쓸 수 있는 접근법이다. 둘 모두 고객 사이드와 제품 사이드에서 본다는 두 가지 시각을 가지고 하는 것은 같으나 MDA는 인간이라는 점에 초점을 더욱 맞추었다. 또한, "바꿀 수 있는 것", "바꿀 수 없는 것"을 명확히 구분하여 생각의 정리를 돕는다. 다만, MDA 프레임워크가 처음 제시된 것이 게임 기획(디자인) 영역이기에 대부분의 용어가 게임 산업에서 왔지만 이는 제품으로 치환해서 봐도 큰 문제가 없다. (우리의 제품이 엔터테인먼트 적 측면이 있거나, 재미라는 게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 다면) 게임 디자인에서 구조(Mechanics..
[5WHY 시리즈] 이거 쓰면 본질에 다가갈 수 있겠지?

[5WHY 시리즈] 이거 쓰면 본질에 다가갈 수 있겠지?

2022.08.04
세계적인 컨설팅 기업인 맥킨지 컨설팅은 5WHY 방법론으로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경영학을 공부했거나 어디서 컨설팅 이야기를 좀 듣다 보면 꼭 마주 하게 되는 이 방법론은 5번왜 '왜?'라는 질문으로 그 문제의 본질에 다가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인적으로 이 방법론이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2019년 발표했던 한 슬라이드에선 대놓고 이 방법론을 추천하기도 했다. 2022.05.05 -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 Project Manager란 무엇일까? 훅: 일상을 사로잡는 제품의 비밀 - YES24 전 세계 UX 분야 스테디셀러!일상을 사로잡고 습관이 되는 제품의 비밀! ‘훅(Hooked)’이란 뭔가를 대단히 즐기고 거기에 빠져 있다는 의미다. 이 의미를 살려 저자는 인간-컴퓨터 상호작..
알고 있으면 언젠가 꼭 쓰는 캐즘(Chasm)이론

알고 있으면 언젠가 꼭 쓰는 캐즘(Chasm)이론

2022.07.31
2022.07.24 - [읽고 보고 들은 것] - 유니콘이 된 스타트업들의 Go to Market 전략 12가지 유니콘이 된 스타트업들의 Go to Market 전략 12가지 흔히 유니콘 기업이라고 하면 기업가치가 10억 달러(1조 원) 이상 도달된 기업이라고 우리가 정의한다. First1000은 이러한 유니콘 기업들의 초기 1,000명의 고객을 어떻게 확보하였는지 정리하는 프 www.fall-moon.com 위 글을 쓰면서 캐즘이론에 대해 이야기 했기에 한 번 다뤄보고 싶어서 아래 글을 써본다. 솔직히 이것만 잘 알아도 어디가서 캐즘에 대해 잘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캐즘(chasm)이라는 단어는 원래 지질학에서 왔다. 땅이나 얼음 등이 갈라져 있는 그 균열(틈)을 의미하는 단어였으나 이걸 또 이름 ..
Notion이 전세계에서 사랑 받은 방법

Notion이 전세계에서 사랑 받은 방법

2022.07.31
본 내용은 2022 SLUSH에서 발표한 내용으로 Notion의 을 기반으로 말합니다. 이전에 아래의 포스팅을 보신 분들이면 이미 알고 계시거나 들어보신 내용일 수 있습니다. 아래 이번 발표의 내용을 요약해놓았으니 한 번 참고해보시라! 2022.04.17 - Notion 유저에서 파트너가 된 이야기: ① 실리콘벨리 프로덕트에 기여하기 2022.04.24 - Notion 유저에서 파트너가 된 이야기: ②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한국에 성공적으로 수입하기 2022.04.28 - Notion 유저에서 파트너가 된 이야기: ③ 할 수 있을 때, 할 수 있는 만큼 요약 노션은 B2B이 주력 Business Model인 SaaS이지만 막강한 사용자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는 서비스 임. 이는 B2B라고 하지만 결국에는 개..
Value Proposition Mapping | 가치 제안 구조

Value Proposition Mapping | 가치 제안 구조

2022.07.30
너무 유명한 Value Proposition 모델, 최근 회사에서 팀빌딩을 하면서 Kent와 함께 이야기를 나누다 기억하기 좋게 적어 놓고자 함. 사실 A4용지 하나만 있어도 8시간 떠들 수 있게 만드는 마법의 모델이다. 팀이 아직 어색한 자리에서 써보자(?) 고객 사이드 Gain : 고객이 얻고자 하는 것 Pain : 고객이 느끼는 문제점 Customer Jobs : 고객은 지금 어떻게 행동 하고 있는가? 제품 사이드 Gain Creators : Gain을 충족 시키기 위한 것 Pain Relievers : Pain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것 Product&Services : 제품/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것 순서 일반적인 Value Proposition Mapping 작성 순서: 고객 -> 제품 실전으로 ..
인공지능은 창작이 가능할까? | Karlo

인공지능은 창작이 가능할까? | Karlo

2022.07.28
먼저 결론 부터 말하면, 인공지능의 창작이 가능해지고 있다. 기존의 인공지능은 인식의 단계에서 머물러 있다. 대상이 텍스트, 이미지 등으로 진화한 것이지 어디까지나 인식의 영역이였다. 이 영역에서는 인공지능이 할 수 있는 것은 무언가를 보고 저건 사람이다. 저건 컵이다. 혹은 저건 글자다 등을 인지 할 수 있는 영역에 그쳤다. 이렇게 인공지능이 판별한 것을 가지고 로직을 만들어서 행동의 영역으로 이끌어 내는 것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인공지능 기술의 실태이다. 우리가 아는 테슬라, 애플, 카카오, 네이버, 아마존 같은 곳에서 하는 인공지능 기술 또한 이것이 위주였다. "저기 차가 온다." 이 속도면 충돌 할 수 있으니 차 속도를 줄이고 핸들을 피하자, "헤이 카카오, 오늘의 날씨는 어때?"라는 입력이 들어..
2022년 8월 시장 전망에 대한 잡설

2022년 8월 시장 전망에 대한 잡설

2022.07.26
한 줄 요약 : 6월 하락분 단기 반등 및 8월은 대체로 회복장, 월말에 크게 흔들기 가능성 높음 2022.05.31 - [읽고 보고 들은 것] - 6월 시장 전망에 대한 잡설 2022.06.28 - [읽고 보고 들은 것] - 7월 시장 전망에 대한 잡설 6월, 7월에 현금 보유를 제창했던 나지만 지금은 말할 수 있다. 구매해도 좋다. 단, 2주 이상 들고 있으면 살짝 걱정해 볼 필요가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단기적으로 시장은 바닥을 확인했고 유가의 급상승과 급하락을 경험해보았으니 당분간 정확한 판단을 하기 힘들어진다. 대신 시장은 바닥을 확인했기에 다시 거래량이 늘 것이고 이럴 경우 인덱스 추적 종목이나 원자재, 제조 쪽을 보면 괜찮다. (당분간 IT나 콘텐츠는 잊고 살아야 한다. 자꾸 ㅋㅋㅇ 사요?..
유니콘이 된 스타트업들의 Go to Market 전략 12가지

유니콘이 된 스타트업들의 Go to Market 전략 12가지

2022.07.24
흔히 유니콘 기업이라고 하면 기업가치가 10억 달러(1조 원) 이상 도달된 기업이라고 우리가 정의한다. First1000은 이러한 유니콘 기업들의 초기 1,000명의 고객을 어떻게 확보하였는지 정리하는 프로젝트였는데... 이렇게 모으다 보니 성공한 유니콘 기업 100개 정도에서 비슷한 시장 진출(Go to Market) 전략을 살펴볼 수 있다. 들어가기에 앞서. 아래에 이어질 용어들에 정의가 좀 필요 할 것 같아 공유해보면... 고관여 고객(High Intent Customer) : 신제품/서비스/생산성 등에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적극적인 고객 (캐즘 이론 상에서 - 이노베이터, 얼리어답터의 포지션) 저관여 고객(Low Intent Customer) : 신제품/서비스/생산성 등에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고 따르..
  • 최신
    • 1
    • 2
    • 3
    • 4
    • 5
    • ···
    • 7
  • 다음

정보

가을달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가을달

  • 가을달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메뉴

  • 🏠 홈
  • 💁‍♂️ 글쓴이
  • 👍 페이스북
  • ❤ 인스타그램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83)
    •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27)
    • 커리어와 진로 (7)
    • 일상에서 영감찾기 (20)
    • 읽고 보고 들은 것 (16)
    • 사고 먹고 마시고 삼킨 것 (2)
    • 지극히 사적인 이야기 (9)

최근 글

  • 당신도 할 수 있다! 조직을 망치는 현장 메뉴얼

    당신도 할 수 있다! 조직을 망치는 현장 메뉴얼

    2022.08.31
  • 보도자료를 처음 써야 할 때 하면 좋은 것들

    보도자료를 처음 써야 할 때 하면 좋은 것들

    2022.08.29
  • 한국콘텐츠진흥원 2022 콘텐츠 스텝업 강연

    한국콘텐츠진흥원 2022 콘텐츠 스텝업 강연

    2022.08.28
  • 스크럼에 대한 거의 모든 것

    스크럼에 대한 거의 모든 것

    2022.08.28
  • 기가 막히는 피리부는 사내가 되는 방법

    기가 막히는 피리부는 사내가 되는 방법

    2022.08.27

인기 글

  • 카카오브레인 신사옥 이전 이야기

    카카오브레인 신사옥 이전 이야기

    2022.06.09
  • MVP만 만들면 되는거죠? 쉽네요.

    MVP만 만들면 되는거죠? 쉽네요.

    2022.08.16
  • 빚을 지고 싶어서 지는 사람도 있습니다.

    빚을 지고 싶어서 지는 사람도 있습니다.

    2022.08.23
  • [시리즈] ② OKR이 뭘까? 그리고 KPI/MBO/BSC와 무엇이 다른⋯

    [시리즈] ② OKR이 뭘까? 그리고 KPI/MBO/BSC와 무엇이 다른⋯

    2022.06.18
  • 보도자료를 처음 써야 할 때 하면 좋은 것들

    보도자료를 처음 써야 할 때 하면 좋은 것들

    2022.08.29

댓글

  • 포스팅 잘 보고 갑니다
  • 인공지능 관련 주요 이벤트와 최근 국내 기업의 활용에 대해 쉽고 재미있게⋯
  • 좋은 글 감사합니다. small win을 꾸준히 하는 것이 자존감을 채우⋯

정보

이해봄의 가을달

가을달

이해봄

공지사항

  • 공지 - 가을달 블로그 탄생 이유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네이버 이웃 맺기
  • RSS 피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나의 외부 링크

  • 자기소개
Powered by Tistory / Kakao. © 이해봄. Designed by Fraccino.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