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가을달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가을달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가을달

본 블로그는 개인 블로그로 글쓴이의 소속/직장의 의견을 대변하는 것이 아닌 개인적인 생각을 공유하는 공간 입니다.

지극히 사적인 이야기

  • 가을달
한국콘텐츠진흥원 2022 콘텐츠 스텝업 강연

한국콘텐츠진흥원 2022 콘텐츠 스텝업 강연

2022.08.28
2022년 8월 24일 한국콘텐츠진흥원과,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진행한 2022 콘텐츠 스텝업에서 AI 관련 연사로 다녀왔습니다. 생성 모델 AI의 가능성과 앞으로 눈 앞에 와 있는 인공지능 기술과 예측되는 미래에 대해 이야기 했습니다.
기술의 특이점은 온다

기술의 특이점은 온다

2022.08.12
특이점이라는 단어를 요즘에 많이들 봤을 것이다. 무언가 이해할 수 없거나 뛰어넘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우리는 '특이점이 왔다.'라는 표현을 쓴다. 예전에 넥슨에 있을 때, 동료들끼리 개그처럼 말했던 것들이 이제 실제로 이뤄지고 있다. 위는 가트너가 발표한 2022년 기술의 하이퍼 사이클이다. 사실 위 내용은 봐도 큰 의미가 없다고 본다. 새로운 게 나오면 교체 하긴 하겠지만 말 그대로 사이클 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자들에게 체감 되게 만져지기 위해선 갈 길이 멀고 저 속도를 누가 예측 할 수 있겠는가? (예측 가능했으면 벌써 가트너는 세계 1위 리서치펌이 되었겠지) 저 표는 그럴지도 몰라 정도로 받아들여야 한다. 난 개인적으로는 이 그래프를 무척 좋아하는데 기술의 발전과 돈을 벌 구석을 잘 설명해 주기 때..
인공지능은 이제 어디로 가야 할까?

인공지능은 이제 어디로 가야 할까?

2022.08.10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인공지능은 정말 말도 안 되는 속도로 발전해 왔다. 아예 기술에 대한 관심이 없는 이들도 이제는 인공지능이 그림을 그리고 글을 쓰는 것에 대해 들어본 적 있다고 할 정도이다. 앞으로 이 속도는 어떻게 될까? AI 윤리에 대한 반하는 치명적 사건이 오지 않는 이상 이 속도는 더욱 빨라지면 빨라졌지 느려지진 않을 것이다. 인공지능 리서처, 서비스 개발자 뭐 할 것 없이 이제 인공지능 업계에선 모델 공개, 논문 등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데이터셋까지 모두 공개하는 추세이다. 서비스 개발로 눈을 돌린다 해도 마찬가지다. 모델 단위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독자적 모델을 가진 곳들도 요즘에는 API공개는 기본으로 하기에 서빙 자체는 무척 쉬워지고 있다. 문제는 경량화나 최적화 일 것이..
사용자가 바라는 것, 내가 바라는 것

사용자가 바라는 것, 내가 바라는 것

2022.08.07
가끔 Maker들은 함정에 빠진다. 자기가 만들고 있는게 엄청난 것이고 시장에 변화를 가지고 올 것이라고. 물론 이런 자신감을 참 좋은 것이지만 자기가 옳다. 라는 함정에 빠지면 이제 사용자는 안보이고 우리가 간지나고 좋은걸 만든다는 뽕에 차게 된다. 머리에서 도파민이 도는 거지. 그럼 유명한 짤방인 아래와 같은 일이 생긴다. 실제 사용자(아기)는 말 그대로 Ass-hole이나 보고 있어야 한다. 불쌍한 사용자들 그리고 사용자는 절대 말하지 않는다 떠나지. 말해주는 사용자가 있으면 고마운 것이다. 그걸 감사히 여기자. 예전 디자인 싱킹에서도 말했던 한 발 물러서서 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게 제대로 되고 있는게 맞는가? 적어도 의사결정 과정에 사적인 특수한 경험, 지인들의 이야기로 의사결정권자들의 bias..
2022년 8월 시장 전망에 대한 잡설

2022년 8월 시장 전망에 대한 잡설

2022.07.26
한 줄 요약 : 6월 하락분 단기 반등 및 8월은 대체로 회복장, 월말에 크게 흔들기 가능성 높음 2022.05.31 - [읽고 보고 들은 것] - 6월 시장 전망에 대한 잡설 2022.06.28 - [읽고 보고 들은 것] - 7월 시장 전망에 대한 잡설 6월, 7월에 현금 보유를 제창했던 나지만 지금은 말할 수 있다. 구매해도 좋다. 단, 2주 이상 들고 있으면 살짝 걱정해 볼 필요가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단기적으로 시장은 바닥을 확인했고 유가의 급상승과 급하락을 경험해보았으니 당분간 정확한 판단을 하기 힘들어진다. 대신 시장은 바닥을 확인했기에 다시 거래량이 늘 것이고 이럴 경우 인덱스 추적 종목이나 원자재, 제조 쪽을 보면 괜찮다. (당분간 IT나 콘텐츠는 잊고 살아야 한다. 자꾸 ㅋㅋㅇ 사요?..
First Mover보다 Last Stander가 되어야 하는 이유

First Mover보다 Last Stander가 되어야 하는 이유

2022.07.06
개인적으로 아침에 종이 신문을 보고 있습니다. 수년째 그러는 이유는 지면의 크기, 그리고 신문에서 내고자 하는 의견의 무게를 보기 위해서 기도 합니다. 이게 섞어보다보면 인터넷 뉴스로만을 알 수 없는 그 미묘한 지점을 알게 됩니다. 그게 매력이지요. 그러던 중 눈길을 끄는 기사가 하나 있었습니다. 모 경제지의 기사 였는데 시장이 불황이고 금리가 오르고 물가가 오르고 뭐 그런 뉘앙스에 뉴스였어요. 말 그대로 시장에 재앙이 내린 거죠. 오늘도 마찬가지로 회사 라운지에서 신문을 보고 있었는데 동료인 C와 N이 와서 물었습니다. 종이신문 보는 사람 처음 봐요. 오늘 신문엔 어떤 기사가 인상 깊은지 이야기 하다보니 자연스럽게 경제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C가 질문했습니다. 근데 왜 달러가 오르는 거에요?, ..
OKR 글로 어그로가 끌려 오신 모든 분들께

OKR 글로 어그로가 끌려 오신 모든 분들께

2022.07.06
지난 달 말즈음 OKR관련 글을 블로그에 적었다. 회사 내부에서도 OKR에 관한 논의가 많았고 OKR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 여지도 많다고 생각했다. 사실 OKR이 나온지 몇년이 되었는가? 수년이 지났고 사실 이것에 대한 이야기는 많이들 나왔다. 2022.06.15 -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 [시리즈] ① 하나의 망령이 한국을 배회하고 있다. K-OKR라는 망령이. 2022.06.18 -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 [시리즈] ② OKR이 뭘까? 그리고 KPI/MBO/BSC와 무엇이 다른가? 2022.06.21 -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 [시리즈] ③ 평가는 해야 할 것 아닌가요? 어떻게 보상을 나눌까요? 위의 세 글이 페이스북에서 화제가 되어 평소 블로그 방문자의 두 배의 가까운 분들..
애들 문해력 떨어지는데 그럼 님은 뭐하셨어요?

애들 문해력 떨어지는데 그럼 님은 뭐하셨어요?

2022.06.12
위의 그래프를 보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 사실 처음에는 좀 이상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내가 아는 미국인, 캐나다인, 대만인이라고 Fact와 Fake를 잘 구별해내고 Digital에 강하다고 더 강렬하게 느끼진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2018년 기준이라는데 미국은 당시에 트럼프와 힐러리의 Fake News 전쟁까지 있지 않았던가. 트위터에선 그의 계정을 차단도 하고... 여하튼! "사실/의견 판단 미비"는 개인적으로도 동의한다. 우리나라가 조금 더 심한 것 같긴 하다. 최근 문해력이나 텍스트 콘텐츠가 소모되는 걸 보면 실제로도 확실히 예전과 다른 느낌이 있다. 하지만 "디지털 교육기회 미비"가 부분이 살짝 거슬린다고 해야 할까? 어릴 때만 하더라도 정보통신, 정보와 컴퓨터 시간에 열심히 디지털 관련..
나만의 강점 찾기 StrengthsFinder 2.0 with Gallup

나만의 강점 찾기 StrengthsFinder 2.0 with Gallup

2022.05.22
세상은 부족함을 채우는 것을 강요한다. 이러한 경향은 재능의 부족함을 극복한 사람들을 우상화하는 데에서도 잘 드러난다. 책이나 영화 등 수많은 콘텐츠 스토리에서도 수백만 분의 일에 불과한 확률을 딛고 승리하는 약자의 이야기로 가득하다. 사회는 무엇이든 될 수 있다 라며 사람들의 노력을 강요한다. 이러한 관점은 무엇이든 될 수 있다고 믿는 신화를 믿고 자란 이들에게는 이단적으로 보일 수 있다. 갤럽의 연구 결과 사람들은 모두 각각 다른 특정 분야에서 더 크게 성공할 가능성을 찾고 있다.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넌 무엇이든 될 수 있는 게 아니야가 아니다. 잘할 수 있는 것을 찾아서 하는 것을 잊고 부족한 것을 채우기 위해 무수한 자원을 낭비하는 것을 멈추기 위해 할 수 있는 테스트이다. 부족한 것을 메..
  • 최신
    • 1
  • 다음

정보

가을달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가을달

  • 가을달의 첫 페이지로 이동
250x250

검색

메뉴

  • 🏠 홈
  • 💁‍♂️ 글쓴이
  • 👍 페이스북
  • ❤ 인스타그램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87)
    •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29)
    • 커리어와 진로 (7)
    • 일상에서 영감찾기 (21)
    • 읽고 보고 들은 것 (17)
    • 사고 먹고 마시고 삼킨 것 (2)
    • 지극히 사적인 이야기 (9)

최근 글

  • 타인을 가늠해야할 때, 아니 저기 MBTI 말구요.

    타인을 가늠해야할 때, 아니 저기 MBTI 말구요.

    2022.09.09
  • 당신도 할 수 있다! 조직을 망치는 현장 메뉴얼

    당신도 할 수 있다! 조직을 망치는 현장 메뉴얼

    2022.08.31
  • 보도자료를 처음 써야 할 때 하면 좋은 것들

    보도자료를 처음 써야 할 때 하면 좋은 것들

    2022.08.29
  • 한국콘텐츠진흥원 2022 콘텐츠 스텝업 강연

    한국콘텐츠진흥원 2022 콘텐츠 스텝업 강연

    2022.08.28
  • 스크럼에 대한 거의 모든 것

    스크럼에 대한 거의 모든 것

    2022.08.28

인기 글

  • [시리즈] ② OKR이 뭘까? 그리고 KPI/MBO/BSC와 무엇이 다른⋯

    [시리즈] ② OKR이 뭘까? 그리고 KPI/MBO/BSC와 무엇이 다른⋯

    2022.06.18
  • 알고 있으면 언젠가 꼭 쓰는 캐즘(Chasm)이론

    알고 있으면 언젠가 꼭 쓰는 캐즘(Chasm)이론

    2022.07.31
  • Pick Your CARD 제작기: ① 대화를 위한 도구를 만들 순 없을⋯

    Pick Your CARD 제작기: ① 대화를 위한 도구를 만들 순 없을⋯

    2020.11.16
  • 유니콘이 된 스타트업들의 Go to Market 전략 12가지

    유니콘이 된 스타트업들의 Go to Market 전략 12가지

    2022.07.24
  • [시리즈] ③ 평가는 해야 할 것 아닌가요? 어떻게 보상을 나눌까요?

    [시리즈] ③ 평가는 해야 할 것 아닌가요? 어떻게 보상을 나눌까요?

    2022.06.21

댓글

  • [승인대기]
  • [승인대기]
  • [승인대기]

정보

이해봄의 가을달

가을달

이해봄

공지사항

  • 공지 - 가을달 블로그 탄생 이유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네이버 이웃 맺기
  • RSS 피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나의 외부 링크

  • 자기소개
Powered by Tistory / Kakao. © 이해봄. Designed by Fraccino.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