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가을달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가을달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가을달

본 블로그는 개인 블로그로 글쓴이의 소속/직장의 의견을 대변하는 것이 아닌 개인적인 생각을 공유하는 공간 입니다.

애들 문해력 떨어지는데 그럼 님은 뭐하셨어요?

  • 2022.06.12 14:54
  • 지극히 사적인 이야기
728x90

정말 충격적인 내용이 아닐 수 없다.

 

위의 그래프를 보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 사실 처음에는 좀 이상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내가 아는 미국인, 캐나다인, 대만인이라고 Fact와 Fake를 잘 구별해내고 Digital에 강하다고 더 강렬하게 느끼진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2018년 기준이라는데 미국은 당시에 트럼프와 힐러리의 Fake News 전쟁까지 있지 않았던가. 트위터에선 그의 계정을 차단도 하고... 여하튼!

 

"사실/의견 판단 미비"는 개인적으로도 동의한다. 우리나라가 조금 더 심한 것 같긴 하다. 최근 문해력이나 텍스트 콘텐츠가 소모되는 걸 보면 실제로도 확실히 예전과 다른 느낌이 있다. 하지만 "디지털 교육기회 미비"가 부분이 살짝 거슬린다고 해야 할까? 어릴 때만 하더라도 정보통신, 정보와 컴퓨터 시간에 열심히 디지털 관련 교육을 받고 최근에는 코딩까지 교육을 받는 시대가 아닌가?

 

사실 이야기는 PISA 21세기 독자보고서가 발간되면서 나온 이야기로 OECD 예하 기관인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기관(PISA)에서 OECD 가입국의 만 15세 학생들을 대상으로 피싱 메일을 식별하는 테스트를 거쳐서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 (아래 관련 기사)

 

피싱 메일 몰라?…한국 청소년 ‘디지털 문해력’ OECD 바닥 ‘충격’

‘PISA 21세기 독자’ 보고서 2018 PISA 읽기 ‘5위’ 불구정보 신뢰성 평가는 OECD 꼴찌정보편향 판단 교육도 평균 이하 OECD, ...

www.hani.co.kr

이게 참 오묘한게 피싱 메일 못 구별하고 속았다고 사실 파악 능력이 부족하다고 하는 게 맞는지 조금 의문이 들기도 하면서 디지털 문해력(리터러시라고 멋지게 부르는 그것)을 기르기 위해 그럼 공교육 차원에서 그걸 강조하던지 해야 하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공교육이 대학 진학 위주의 교육과 사회에서도 그렇게 배우는데 청소년들이 디지털 문해력이 길러지겠는가? 그렇다고 수능 과목으로 그런 거 넣지 말고.. (코딩이나, 정보통신 관련된 게 있으면 좀 미묘할 것 같다.) 학교에 가면 핸드폰 뺏기고 몰래 핸드폰하고 컴퓨터 하는 게 당연한 청소년들에게 진득이 해당 정보를 파악하고 분석할 시간을 안 주면서 왜 못해! 하는 게 과연 옳은 일인지 모르겠다.

 

물론, 최근 문해력이 실제로 떨어지고 있다는 글을 많이 본다. 코로나 때문에 미디어를 접할 시간이 늘어나서라고도 하고 유튜브 때문이라고도 하고 그냥 독서량, 신문 구독률이 떨어져서라고 하고 뭐 다양한 이야기들이 많다.

 

 

 

[문해력 리포트] ① "고지식이 높은 지식인가요?" 읽어도 이해 못하는 아이들 | 연합뉴스

[※편집자 주 = 우리나라 청소년의 문해력이 우려할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일선 교사들이 걱정합니다. 글을 읽어도 이해를 못 하는 아이들이 많다는 ...

www.yna.co.kr

텍스트 콘텐츠를 제대로 못즐기는 것도 안타까운 일이고 미디어 채널이 다양해지면서 책이나 종이신문을 안 읽게 된 것도 동의한다. 그럼 청소년에게 읽으라고 뭐 강요하면 읽겠는가? 알다시피 우리도 읽으라고 해도 안 읽었다. 즐길게 그거밖에 없었으니 그거라도 읽은 거지. 옛날엔 신문에 낱말풀이 게임이나 TV 편성표 같은 거 보려고 읽기 싫어도 봤었고 만화나, 소설 들도 연재되어서 그걸 보려고도 읽었다. 책 역시 읽을게 책이 유일했다. 만화방 같은 데서 양판소 빌려 읽고, 아니면 해리포터나 이런 것들이 지금 책으로 출판되었다면... 잘 안되었을 것이다. 이젠 그걸 진득이 읽어줄 독자는 전 세계에 없거든. 톨킨도 롤링도 이영도도 그 시대니까 가능했던 흥행 파워였다.

 

그럼 요지는 무엇이냐? 디지털 문해력이니 문해력이니 하기 전에 글로도 재밌는 컨텐츠를 제공하면 된다. 이 과정에서 다소 책과 글을 소비하는 문화가 만들어져야 하는 것은 동의한다. 다만, 이걸로 요즘 애들 글을 모른다~ 한자를 모른다~ 하는 건 과도한 비난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에겐 애초에 진득하게 읽을 시간이 없었다. 왜 숏폼 콘텐츠가 유행하겠는가? 청소년들의 하루는 놀라울 만큼 삶의 밀도도 높아지고 효율화가 되었다. 그러니 애들 혼내기 전에 어른들은 재미있는 콘텐츠 만들 생각이나 하고 그걸 재밌게 즐길 수 있게 만들고 분위기를 만드는 책임을 가져야 한다. 생각해보라, 혼내기만 하는데 누가 하고 싶겠는가?

728x90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지극히 사적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자가 바라는 것, 내가 바라는 것  (0) 2022.08.07
2022년 8월 시장 전망에 대한 잡설  (0) 2022.07.26
First Mover보다 Last Stander가 되어야 하는 이유  (1) 2022.07.06
OKR 글로 어그로가 끌려 오신 모든 분들께  (0) 2022.07.06
나만의 강점 찾기 StrengthsFinder 2.0 with Gallup  (0) 2022.05.22
OECD, PISA, 공교육, 교육, 문해력

댓글

방문자 정보

이 글 공유하기

  • 구독하기

    구독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라인

    라인

  • 트위터

    트위터

  • Facebook

    Facebook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밴드

    밴드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Pocket

    Pocket

  •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 2022년 8월 시장 전망에 대한 잡설

    2022년 8월 시장 전망에 대한 잡설

    2022.07.26
  • First Mover보다 Last Stander가 되어야 하는 이유

    First Mover보다 Last Stander가 되어야 하는 이유

    2022.07.06
  • OKR 글로 어그로가 끌려 오신 모든 분들께

    OKR 글로 어그로가 끌려 오신 모든 분들께

    2022.07.06
  • 나만의 강점 찾기 StrengthsFinder 2.0 with Gallup

    나만의 강점 찾기 StrengthsFinder 2.0 with Gallup

    2022.05.22
다른 글 더 둘러보기
나만의 강점 찾기 StrengthsFinder 2.0 with Gallup
이 글은 어떠세요?

나만의 강점 찾기 StrengthsFinder 2.0 with Gallup

정보

가을달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가을달

  • 가을달의 첫 페이지로 이동
250x250

검색

메뉴

  • 🏠 홈
  • 💁‍♂️ 글쓴이
  • 👍 페이스북
  • ❤ 인스타그램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87)
    •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29)
    • 커리어와 진로 (7)
    • 일상에서 영감찾기 (21)
    • 읽고 보고 들은 것 (17)
    • 사고 먹고 마시고 삼킨 것 (2)
    • 지극히 사적인 이야기 (9)

최근 글

  • 타인을 가늠해야할 때, 아니 저기 MBTI 말구요.

    타인을 가늠해야할 때, 아니 저기 MBTI 말구요.

    2022.09.09
  • 당신도 할 수 있다! 조직을 망치는 현장 메뉴얼

    당신도 할 수 있다! 조직을 망치는 현장 메뉴얼

    2022.08.31
  • 보도자료를 처음 써야 할 때 하면 좋은 것들

    보도자료를 처음 써야 할 때 하면 좋은 것들

    2022.08.29
  • 한국콘텐츠진흥원 2022 콘텐츠 스텝업 강연

    한국콘텐츠진흥원 2022 콘텐츠 스텝업 강연

    2022.08.28
  • 스크럼에 대한 거의 모든 것

    스크럼에 대한 거의 모든 것

    2022.08.28

인기 글

  • [시리즈] ② OKR이 뭘까? 그리고 KPI/MBO/BSC와 무엇이 다른⋯

    [시리즈] ② OKR이 뭘까? 그리고 KPI/MBO/BSC와 무엇이 다른⋯

    2022.06.18
  • 알고 있으면 언젠가 꼭 쓰는 캐즘(Chasm)이론

    알고 있으면 언젠가 꼭 쓰는 캐즘(Chasm)이론

    2022.07.31
  • Pick Your CARD 제작기: ① 대화를 위한 도구를 만들 순 없을⋯

    Pick Your CARD 제작기: ① 대화를 위한 도구를 만들 순 없을⋯

    2020.11.16
  • 유니콘이 된 스타트업들의 Go to Market 전략 12가지

    유니콘이 된 스타트업들의 Go to Market 전략 12가지

    2022.07.24
  • [시리즈] ③ 평가는 해야 할 것 아닌가요? 어떻게 보상을 나눌까요?

    [시리즈] ③ 평가는 해야 할 것 아닌가요? 어떻게 보상을 나눌까요?

    2022.06.21

댓글

  • [승인대기]
  • [승인대기]
  • [승인대기]

정보

이해봄의 가을달

가을달

이해봄

공지사항

  • 공지 - 가을달 블로그 탄생 이유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네이버 이웃 맺기
  • RSS 피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나의 외부 링크

  • 자기소개
Powered by Tistory / Kakao. © 이해봄. Designed by Fraccino.

티스토리툴바